럭키럭비 럭키럭비
기본기

VAR 대신 TMO: 비디오 판독이 가져온 역사와 문화

2025.09.20 14:02 · LuckyRugby 편집팀 · 약 9분
VAR 대신 TMO: 비디오 판독이 가져온 역사와 문화

1. 비디오 판독의 시작: 럭비가 처음으로 도입한 기술

  • 1950년대 실험적인 ‘재생 화면’ 사용 사례
    1955년 스코틀랜드에서 열린 한 국제 경기에서, BBC는 초기에 “재생(Replay)” 기능을 시범적으로 도입했다. 이때는 단순히 경기 후에만 화면을 돌려보는 방식이었고, 실시간 판정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 1978년 최초 공식 TMO 도입 배경과 목적
    1978년 런던에서 열린 프랑스·영국 국제 경기는 ‘Tactical Match Official’(TMO)라는 개념을 시험적으로 활용했다. 당시 목표는 주로 “프라이버스(Ruck)”나 “몰(Maul)” 시점에서 판정이 필요할 때, 경기장 밖에 있는 전문가가 카메라를 통해 상황을 재검토해 정확한 결정을 내리도록 돕는 것이었다.

  • 1985년 VAR 개념이 등장한 국제 경기 연습
    1985년 FIFA와 Rugby World Cup 주최측은 ‘Video Assistant Referee’(VAR)라는 용어를 실험적으로 사용했다. 이는 경기 중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리플레이로 검토해 판정에 보조를 제공하려는 시도였으며, 결국 VAR이 축구 등 다른 스포츠에서도 표준화되는 기반이 되었다.

2. TMO의 구조와 운영 원리

핵심 장비: 카메라, 모니터, 통신 라인

  • 다중 카메라
    경기장 각 구석에서 4~6개의 고해상도 카메라가 설치돼, 선수들의 움직임을 모든 각도에서 포착한다.
  • 전용 모니터
    TMO 부스에는 경기 중 실시간 화면과 과거 리플레이를 동시에 볼 수 있는 대형 디스플레이가 있다.
  • 통신 라인
    판정 결과는 즉시 경기장 내 심판에게 전달되며, 필요 시 현장의 다른 심판들과도 직접 연결된다.

TMO 판정 흐름: 경기 중 요청 → 판정 → 리플레이 검토

  1. 심판이 상황을 판단하지 못하면
    예를 들어, 2022년 잉글랜드 vs. 뉴질랜드 테스트에서, 한 선수가 패스 도중 ‘오프 사이드(off‑side)’인지 여부가 불확실했다. 심판은 TMO에 요청했다.
  2. TMO는 카메라 시점 중 가장 명확한 것을 선택
    리플레이를 4배속으로 재생해 선수의 손 위치와 라인 위쪽을 확인한다.
  3. 결정 전달
    판정이 내려지면 심판은 경기 진행을 계속하거나, 필요 시 ‘마크(Mark)’로 경기를 일시 중단했다.

판정 기준과 판독 시점

  • 프라이버스(Ruck)와 몰(Maul)
    TMO는 주로 “선수 접촉(Contact)”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2019년 프랑스 vs. 오스트레일리아 경기에서 ‘몰’ 도중 한 선수가 공을 잡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TMO가 ‘공이 손에 들어간 순간’을 판단해 포인트를 부여했다.
  • 오프 사이드(off‑side)
    패스 직후 선수의 위치와 움직임을 기준으로 판정한다.
  • 선 넘기(overlap) 및 터치(Touch)
    경기 중 일어난 작은 접촉이 점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 TMO가 재검토한다.

3. VAR와의 주요 차이점

시청자 vs 경기 운영자 관점에서 보는 ‘실시간’ 여부

  • TMO는 판정이 필요할 때만 호출된다. 심판은 “필드에서 즉시 결정을 내리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며, TMO의 판정은 보조적인 역할에 머무른다.
  • VAR는 경기 중 모든 상황(오프사이드, 페널티, 골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필요 시 바로 경기를 멈추고 심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판정 범위

  • TMO
    주로 “접촉”과 “공이 손에 들어간 순간” 같은 세부적인 상황에 한정된다.
  • VAR
    광범위한 사건(오프사이드, 페널티, 골키퍼가 공을 잡지 못했는지 여부 등)을 다룬다.

결과 발표 방식

  • TMO
    판정은 직접 심판에게 전달되며, 경기가 계속되는 경우 ‘포인트’나 ‘노트’를 바로 반영한다.
  • VAR
    심판은 VAR의 조언을 듣고 최종 결정을 내리지만, 대부분 “조언” 형태로 제공된다.

4. 문화적 영향: 팬과 선수의 인식 변화

비디오 판정 도입 전후 경기 속도와 리듬 차이


  • 2000년대 초반까지는 심판이 실시간으로 판단을 내렸으나, 때때로 ‘오프사이드’ 같은 미묘한 상황에서 오판이 빈번했다.

  • TMO 도입 이후 경기의 속도는 조금 느려졌지만, 정확도가 상승해 불필요한 논쟁이 줄어들었다.

선수들이 TMO를 활용해 스스로 분석하는 사례

  • 2021년 뉴질랜드 ‘All Blacks’ 팀은 경기 후 회고 세션에서 TMO 리플레이를 사용해 선수들의 움직임을 분석했다. 이는 전술적 개선뿐 아니라, 부상 예방에도 기여했다.

팬들이 비디오 판정을 통해 이해도를 높이는 방법

  • 리플레이 재생 속도 활용
    TV 중계에서는 ‘1.5x’ 또는 ‘2x’ 속도로 리플레이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관중은 “어떤 순간에 오프사이드가 발생했는지”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 TMO 알림 시각화
    경기 중 ‘🔵 TMO’ 아이콘이 화면에 뜨면, 팬들은 그 순간을 놓치지 않고 집중한다.

5. 실전 관람 팁: TMO 경고를 놓치지 않는 법

화면에 표시되는 ‘TMO’ 아이콘과 알림 시점 파악

  • TV 중계에서 ‘🔵 TMO’가 뜨면, 바로 리플레이가 시작된다. 이때는 “공이 손에 들어간 순간” 혹은 “프라이버스 시작” 같은 핵심 상황을 확인한다.

공식 경기 방송에서 제공하는 리플레이 재생 속도 활용

  • 대부분의 중계 채널은 1.25x, 1.5x, 2x 속도를 지원한다. ‘오프사이드’와 같이 순간적인 움직임이 중요할 때는 1.5x를 이용해 자세히 살펴보자.

경기 중 TMO가 호출될 때의 공통 상황 예측하기

  • 패스 직후
    오프사이드 여부 판단이 필요하다.
  • 몰(Maul) 도중
    선수 접촉이 있었는지 확인한다.
  • 공격 라인 이동 시
    ‘플레이어가 공을 잡고 있는 순간’인지 검토된다.

FAQ

TMO와 VAR은 어떻게 다른가요?

TMO는 주로 경기 중 특정 상황(접촉, 프라이버스 등)을 재검토해 보조 판정을 제공하며, VAR은 보다 광범위한 사건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심판에게 조언한다.

TMO가 언제 도입되었나요?

공식적으로 1978년 런던에서 최초로 도입되었으며, 이후 국제 경기에서 점차 표준화되었다.

VAR이 럭비에 미친 영향은?

VAR의 개념이 축구 등 다른 스포츠에서 확산된 뒤, 럭비에서는 TMO가 그 역할을 대신했다. 이는 경기 정확도를 높이고 불필요한 논쟁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태그
#TMO 비디오 판정#럭비 VAR 차이점#럭비 관람 가이드#세계 랠리 비디오 시스템#럭비 초보자 팁

관련 포스트